보훈공단-서울대병원, 의료 AI 개발 맞손… 보훈의료 서비스 도약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이사장 윤종진, 이하 보훈공단)은 13일 서울대학교병원(원장 김영태) 헬스케어AI연구원(원장 장병탁)과 인공지능(AI) 분야 공동 연구 및 기술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윤종진 보훈공단 이사장과 김영태 서울대학교병원장 등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의료용 AI 기술 및 데이터 활용 공동 연구 △임상 현장 중심 AI 플랫폼 공동 개발 △학술 교류 및 의료 분야 적용 전략 공유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바탕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류제명 제2차관이 14일 국내 물리 인공지능(피지컬 AI) 개발 기업인 ‘마음AI’를 방문해 기술 현황을 살펴보고, 산업계와 함께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류제명 제2차관 자료사진
이번 현장 방문은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포함한 물리 인공지능 기술이 제조 등 핵심 산업의 대전환을 이끌 수 있도록 기반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정부 구상의 일환이다.
피지컬 AI는 인간의 인지와 행동을 물리적 장치와 융합한 기술로, 최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서 AI 대전환 전략의 핵심 과제로 제시된 바 있다.
이날 시연에서는 자율주행 4족 보행 경비로봇과 ‘시각-언어-행동(VLA)’ 모형을 학습한 디지털 트윈 기반 시뮬레이터 등 국내 기술력이 공개됐다.
마음AI 최홍섭 대표는 “피지컬 AI는 제조 현장뿐 아니라 보안, 물류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열린 간담회에는 한화로보틱스, 동원시스템즈, 퓨리오사AI 등 관련 기업 대표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관계자들이 참여해 기술 확산 방안과 산업별 융합 전략을 논의했다.
류 제2차관은 “대한민국은 AI 기초모형과 AI 반도체, 제조업 역량을 모두 갖춘 국가”라며 “숙련 노동자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밀공정 특화 AI 개발과 암흑 공장(다크팩토리) 구축 등을 통해 피지컬 AI를 산업 전반에 확산하겠다”고 밝혔다.